에어컨 전기세 계산법, 절약 tip 정리

[에어컨 전기세 계산 공식]

이제 슬슬 에어컨을 켜야해서, 전기세 걱정하시는분 많으실거에요. 자칫하면 전기세폭탄으로 어마어마하게 나오죠 ㅜㅜ 그래서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소비전력은 에어컨이 가동될 때 사용하는 전력량(W)을 말하고 사용시간은 한 달 동안 해당 제품을 사용한 시간(h)을 말하는데요. 이 둘을 곱하여 와트시(Wh)라고 합니다.

“소비전력 X 사용시간”

[에어컨 소비전력 확인하기]

사용하시는 에어컨의 옆면을 확인하면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와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표시가 있습니다.

2011년 이후부터는 인버터 에어컨으로 출시되고 있어 정격, 최소 소비전력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정격 냉방 소비전력은 에어컨을 사용할 때 최대로 사용하는 전력량을 말하고, 최소는 가장 적게 사용할 때를 의미합니다. 

인버터 에어컨과 정속형 에어컨이 있다는 거 아시나요? 인버터 에어컨의 가장 큰 특징은 전기세인데요. 가동을 시작할 때 많은 전력을 사용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전력량이 줄어들어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답니다. 그에 반해 정속형 에어컨은 쓰는 만큼 나온다고 하니.. 인버터 에어컨이 훨씬 에어컨 전기세 절약에 좋겠죠?

[전력량 구하기]

정격 전력과 최소 전력을 기록해두셨나요? 저는 하루 8시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한 달 동안의 전력량을 구해볼게요.

– 정격 전력: 1,700W

– 최소 전력: 300W

– 하루: 8시간

– 한 달: 30일

이런 에어컨은 한 달에 얼마나 나올까요?

(1,000Wh는 1 kWh입니다)

◎ 정격: 1,700W X 8시간 X 30일 = 408,000 Wh = 408 kWh

◎ 최소: 300W X 8시간 X 30일 = 72,000Wh = 72 kWh

[전기세 계산하기]

전력량을 구했으니 이에 맞는 에어컨 전기세를 구해보아야 겠죠? 정격은 408 kWh, 최소는 72 kWh 기준으로 구해볼게요. 

2023년 6월 기준 주택용 전력 요금

구간사용량기본요금전력량 요금
1300kWh 이하910원120.0원
2301-450kWh1,600원214.6원
3450kWh 초과7,300원307.3원
41,000kWh 초과736.2원

전력요금 표에 맞춰서 전체 사용량을 각 구간의 범위에 맞게 곱해주시면 되는데요. 제가 든 예시로 각 구간별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구간 : 300 kWh X 120.0원 = 36,000원

2구간 : 108 kWh X 214.6원 = 23,177원

총 59,177원

에어컨 전기세 구하는 방법 참 쉽죠?

그렇다면 에어컨을 시원하게 틀면서, 전기세도 아끼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상적인 여름철 실내 에어컨 적정 온도는 22-26℃ 인데요. 이때 실내 온도가 외부와는 6-8℃ 이상 차이 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게 좋아요. 바깥 온도가 34℃라면 내부 온도는 26-28℃로 설정해야 하는 것인데요. 온도가 24°C로만 내려가도 전력 소모량이 30%나 증가한다는 사실 😂

또,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있는 에어컨 상식 중 하나가 에어컨 냉방 모드와 제습 모드의 전기 요금 차이예요. 제습 모드의 경우 냉방 모드보다 시원함이 덜하기 때문에 전기 요금이 더 저렴할 것이라고 들은 적 있으실 거예요.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사실 제습 모드와 냉방 모드는 작동 원리가 동일하여, 전력 소모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합니다 😂

다들 에어컨으로 시원하게 여름 나시고, 높은 전기세도 막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