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지역 및 퇴치방법 총 정

‘러브버그’가 이미 지난해 서울 전역으로 퍼진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2022년부터 여름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등 북한산 주변에서 기승을 부리다가 활동 영역을 빠르게 넓히고 있습니다.

19일 국민의힘 윤영희 서울시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러브버그로 인한 민원은 2022년 4218건에서 지난해 5600건으로 약 27% 증가했다고 합니다.

2022년 자치구별 러브버그 민원의 98%(4332건)가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 3개 자치구에 집중됐던 것과 달리 지난해에는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러브버그로 인한 불편 민원이 들어온 것으로 집계돼고있습니다.

지난해 전년도에 비해 러브버그 민원이 100건 이상 증가한 자치구는 종로구·중구·성북구·양천구·강서구·구로구 등 6개 자치구입니다 이 중 강서구의 경우 민원이 2022년 2건에서 지난해 207건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러브버그의 정식 명칭은 파리목 털파리과 ‘붉은등우단털파리’인데요,. 주로 중국 남부 지역이나 일본 오키나와 등지에 서식하며 다른 털파리과 곤충과 마찬가지로 보통 암수가 쌍으로 다녀 러브버그라 불립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 유충은 흙바닥에 살며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위 포식자인 물고기나 새의 먹이가 돼 익충(인간 생활에 이로움을 주는 곤충)으로 분류됩니다.

윤 시의원은 “서울시는 (러브버그가) 익충이라는 이유만으로 구체적인 방역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자치구에 물리적 방제 위주의 방역을 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게 전부”라며 “러브버그와 팅커벨(동양하루살이)이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익 충이나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러브 버그 퇴치법 : 어두운 옷, 벌레 스프레이, 진공 청소기

러브 버그는 물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아파트 벽에 많이 붙어 있다면 물을 끼얹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러브 버그가 밝은 색을 좋아하기 때문에 가능한 어두운 색 옷을 입고, 살충제에 약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벌레 스프레이를 사용해도 좋다고 전했습니다.

또 러브 버그는 활동이 느리기 때문에 집 안에 들어온 경우 진공청소기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러브 버그의 정식 명칭은 ‘플리시아 니악티카’로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남동부 해안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파리과 곤충입니다.

독성도 없고 사람도 물지 않으며 질병도 옮기지 않지만, 러브 버그 특유의 생김새와 사람에게 날아드는 습성 탓에 여러 시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 러브 버그 퇴치법
    ① 물기 싫어하는 러브 버그, 많이 붙어있는 곳에 물 끼얹기
    ② 밝은 색 좋아하는 러브 버그, 되도록 어두운 색 옷 입기
    ③ 살충제에 약한 러브 버그, 가정용 벌레 스프레이도 OK
    ④ 움직임 느린 러브 버그, 진공청소기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
    ⑤ 구강 청결제 3스푼 + 오렌지 또는 레몬즙 섞어 뿌려도 기피 효과↑